[조선왕조실록] 환수보고서 (6)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 관리자 작성일14-02-20 11:52 조회4,246회 댓글0건본문
제3차 회담과
도쿄대의 기증결정
5월 10일, 도쿄의 김순식 변호사로부터 연락이 왔다. 도쿄대가 5월 10일 '조선왕조실록'과 관련하여 긴급 이사회를 개최하고 있으니, 변화가 예상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12일 도서관장이 직접 나와 5월 31일 3차회담을 열겠다고 통보, 그날 도쿄대측이 중대한 발표를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환수위도 긴급한 회의를 갖고 3차회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했다. 5월 31일은 지방 선거일이므로, 국회의원 모임의 3차회담 지원 및 참여가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선거일로 도쿄대가 날짜를 잡은 것으로 미루어, 여론을 희석시키기 위한 작전임을 눈치채고 뭔가 심각한 결정을 통보할 것임을 직감했다.
< 도쿄대 정문 환수위 - 3차회담에 앞서 도쿄대 정문 아까몬 앞에 선 환수위(실록 반환결정 소식을 접하고 밝은 표정으로 촬영에 임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상훈 조계종 중앙신도회 부회장, 혜문스님, 김순식 변호사, 문춘자 여사, 법상스님, 김원웅 의원, 문만기 실행위원장, 이춘희 변호사, 김용목 보좌관) >
자문위원장인 김원웅 의원도 뭔가 중대한 움직임이 있을 것이란 생각에 동의하고 일단 5월 31일 협상에 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조계종 중앙신도회도 중요한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5월 31일 회담에 참가하기로 했다. 일본측의 조총련계신문<조선신보>과 일본의 아사히신문도 이날 벌어질 상황에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환수위는 5월 30일 오후 1시 다음날의 협상을 위해 김원웅 의원과 함께 출국했다. 일본 하네다 공항에 도착해서 숙소로 이동한 뒤, 우리는 서울로부터 뜻밖의 전화를 받았다.
'도쿄대가 실록 반환을 결정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도쿄대측에 확인해본 결과 도쿄대가 발표한 것은 아니고, 서울대측에 의해 한국에서 먼저 발표가 있었다는 것이었다.
< 실록기증 결정 전달 - 도쿄대 도서관장이 환수위 간사 법상스님에게 실록을 서울대로 기증하기로 했다는 결정문을 전달하고 있다. >
우리는 김순식 변호사에게 좀더 구체적인 사실 확인을 부탁했는데, 잠시후 변호사는 '도쿄대가 실록 반환 결정을 내린 것은 사실이며, 원래 5월 31일 환수위와의 협상을 마치고 발표할 예정이었던 것을 서울대가 하루 전날 미리 발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알려 주었다.
이날 저녁 도쿄에서 환수위측은 변호사들과 함께 서로에게 감사하며 시간을 함께 했다.
실록의 반환운동은 지난시기 빼앗겼던 민족의 자존심을 되찾기 위한 한판 승부였고, 실록 환수는 우리 모두의 노력으로 일궈낸 민족의 승리였기 때문이다.
다음날 5월 31일 11시 30분에 열린 도쿄대와의 3차회담에서 도쿄대 도서관장은 '실록을 서울대로 기증하기로 결정했다'는 취지의 결정문을 환수위측에 전달한 뒤, 회담을 앞두고 언론에 미리 발표된 사실에 대해 환수위측에 거듭 사과를 했다.
< 도쿄대 인사와 기념촬영 - 3차회담후 도쿄대 인사와 기념촬영(가운데 여성이 통역 우시오 여사, 우측이 사사카와 부장) >
"3차회담을 약속해 놓고 언론에 미리 발표된 것에 대해 대단히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우리는 환수위와의 회담이 끝난 뒤, 서울대측과 1시에 공동 기자회견을 갖기로 했는데, 서울대측에서 언론에 미리 공개하는 바람에 대단히 복잡한 상황이 되어 버렸습니다"
우리는 그 자리에서 '서울대 기증' 사실을 문제삼지는 않았고, 다만 반환이 아닌 기증이란 단어를 선택한 것에 대해서 도쿄대측의 부도덕성을 추궁했다.
도서관장은 본인들은 '기증'이란 단어를 쓰지만, 한국측에서 무슨 단어를 쓰는가는 관여하지 않겠다며, 기자회견 시간이 촉박하다는 핑계로 자리를 피했다.
< 기자회견장 - 도쿄대 부총장이 실록의 서울대 기증 사실을 발표하고 있다. >
도쿄대 인사들은 다소 밝은 표정으로 3차회담에 임했고, 회담이 끝나자 '그동안 고생했다'며 환수위측과 기념촬영을 제안했다. 우리는 촬영후 기자회견장에 참석, 도쿄대가 실록반환을 결정하는 현장을 지켜보았다.
< 아사히 신문 기사 - 환수위의 활동과 도쿄대의 반환 결정과정을 보도하고 있다. >
성명서
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본의
반환결정을 환영한다
2006. 5. 31 도쿄대학에서
조선왕조실록 환수 위원회 제 3차 협상단 대표
김원웅 의원 (환수위 자문위원장)
법 상 (환수위 간사)
혜 문 (환수위 간사)
문만기 (환수위 실행위원장)
송영한 (환수위 실행위원)
김용목 (실록 되찾기 국회의원
모임 강혜숙 간사 보좌관)
이상훈 (조계종 중앙신도회 부회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