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특강(3)-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 관리자 작성일15-04-01 16:39 조회3,904회 댓글0건본문
●(cd.3)
※ 3大聖人이 淫慾을 警誡
孔子~ 吾未見 好德을 如好色者也라
老子~ 罪莫大於過慾(淫) 禍莫大於不知足
佛陀~ 淫之爲力이 其大가 無外하니 賴有一賴有一이라
(하나 있으니 다행이다)
若使有二大런들 普天之人이 無以爲道者러니라 (42藏經)
※緣覺~ 佛당시에 나서 깨달은 무리
※獨覺~ 佛出現 以前이나 以後에 홀로 깨달은 무리
◎儒敎는 大人者는 不失其 赤子之心 (大人者는 어린애 마음을 가진 자)
《老子 道德經에》
※含德之厚는 比如赤子라 骨弱筋柔而 握固하며 未知牝牡之合而 䘒作은 精之至也요 終日號而 嗌不嗄는 和之至也라.
(어린애가 뼉따귀는 약하고 힘줄은 부드럽되 주먹은 꼭 쥐고,
陰陽의 交合을 모르되 생식기가 빳빳해 있는 것은 精氣가 至極한 것이요. 하루 종일 울어도 목이 쉬지 않음은 和氣가 至極한 것이다.)
◎佛敎는 善知識 81行에 嬰兒行이 第一이다.
◎菩薩儈 (自利 · 利他가 兼해서 大乘이다) (개산~거위)
布施 · 持戒 · 忍辱은 = 利他面 (大乘)
精進 · 禪定 · 智慧는 = 自利面 (小乘)
◎菩薩이 닦는 6度
①布施~以知 法性이 體無慳貪故로 隨順修行檀波羅蜜
(布施 · 忍辱 · 持戒 · 利他)
②持戒~以知 法性이 體無染故로 隨順修行 尸(戒)波羅蜜
(檀~布施)
③忍辱~以知 法性이 離嗔惱故로 隨順修行 羼提波羅蜜
(羼(산)提~忍辱)
④精進~以知 法性이 無身心相하야 離解怠故로 隨順修行
昆梨耶波羅蜜
⑤禪定~以知 法性이 體無亂故로 隨順修行 禪波羅蜜 (毘梨耶一精 進)
⑥智慧~以知 法性이 體明하여 離無明故로 隨順修行 般若
波羅蜜
◎ 大乘始敎:600部般若 時敎思想 (闡提不成佛) (闡提~無善根)
大乘終敎(楞嚴 · 涅槃經) 終敎思想 (闡提成佛) (生法師)
※ (生法師가 虎丘山에 가서 闡提成佛을 주장 山川草木이 點頭.)
(唐나라 太宗이 臣下 위증과 皇后 셋이 앉아서 眞實된 말을 하니
山川草木이 點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