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N 인연 법연 원행스님 질문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10-21 16:08 조회4,224회 댓글0건본문
BTN 인연 법연 원행스님 질문지
1답 –만화 희찬스님은 인욕보살의 성인이셨습니다.
2답 –희찬스님의 고향은 원래 평안남도 덕천군이였습니다.장원국을 아버지로 태어나서 장준제 할아버지의 손을잡고 오대산 상원사에 한암스님께 18세에 출가하게되었습니다.
3답 –그렇습니다 평생을 한암스님을 시봉하였으며 한암스님이 열반하신 상원사에서 똑같이 열반하셨습니다.
4답 –18세에 오대산 상원사 한암스님께 출가하여 선.교.율.가람수호 참선. 염불. 간경. 사경.범폐.행정.등 모든전반에 걸쳐서 수행자의 정신과 위의를 배웠습니다.
5답 –그렇습니다. 한암스님께서 후대를위하여 탄허스님과 같이 남방으로 피난갈 것을 권유하였으나 상원사에 끝까지 남으셨습니다.
6답 –상원사를 소각할당시 오대산월정사와 모든암자가 소실되고 한암스님과 함께 끝까지 절을 지켜서 오늘의 적멸보궁과 상원사가 남아있습니다.
7답 –1951년에 한암스님께서 열반하실 때 모든대중과 스님들은 모두 남방으로 피난가서 희찬스님께서 일체를 챙기셨습니다
8답 –출가이후 한암스님이 희찬스님에게 탄허의 상자가 되어라 하시면서 만화희찬의 불명과 함께 시봉하였습니다.
9답 –탄허스님과의 일화는 탄허스님에게 21세기를위하여 화엄경을 역경출판하고 희찬스님에게는 페사된 월정사를 복원하라 하셨습니다
10답 –탄허스님은 역경에 전념하시고 희찬스님은 페허된 월정사를 복원하셨습니다
11답 –그렇습니다. 평생을 페허된 월정사를 복원하시는대 노심초사 하셨으며 그에따른 인욕의 정신과 원력의 정신은 한국불교를 새롭게 건립하게된것입니다
12답 –그렇습니다 오대산 월정사 고랭지 페허의 텃밭에 감자와 옥수수와 우엉들을 신도에게 시주하고 팔앗으며 1975년 영동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전국의 관광객이 내왕하여 한그릇에 천원씩 받고 시주를 받았습니다
13답 –월정사 대웅전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또 월정사를 중창하는데 있어서 4번이나 산림법위반과 문화재보호법위반 등으로 춘천교도소와 원주교도소에서 구속되었으며 30건의 송사와 많은 고통을 받으셨습니다
14답 –새벽3시에 기상하여 11시에 주무실때까지 염불과정진과 목수와 노동자였습니다 지금안동 유하사에 있는 덕운처사가 친동생인데 데려와서 잡일과 심부름과 농사일과 스님들의 시봉을 들게하였습니다. 많은 사형사제와 상좌들은 사중운력에 힘이들어 모두가 싫어하였습니다
15답 –월정사 서별당의 준공과 함께 1978년 화엄경이 완역되어 제1회 화엄산림법회를 열어 화엄사상을 드높이는데 앞장서서 탄허스님을 보좌하셧습니다.
16답 –처음 은사스님을 만났을때는 법당을 지으시느라 스님이아니고 목수와 일반노동자 같았습니다
17답 –출가할당시 1970년도였습니다
18답 –3개월동안의 행자시절을 거쳐 탄허스님께서 너는법명을 원행이라 하고 희찬이 상좌가 되거라 그리고 멍청이가 되고 멀리다녀라 하셧습니다
19답 –특별한 말씀은 없으셧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말씀없는 것이 말씀하신것입니다
20답 –행자시절은 당시에 공양주 생활과 체공시절 별자와 원주시절이 힘들었으며 오대산의 겨울에는 한철 나기가 많이 힘들었습니다
21답 –희찬스님의 일과와 스승의 일과는 기상에서부터 취침까지 거의같았습니다
22답 –모든행정과 종무소 후원일 신도접견 법당기도 등이었습니다
23답 –성심과 근면과 진실을 항상 가르쳤습니다
24답 –재미있었다기보다는 항상 고행이었으며 오대산 산림이 약8천정보이고 (1정보는3만평) 4개군 12개면에 걸쳐있어 산림의 경계를 산감직원과 함께 김밥을 싸가지고 일주일동안 답사한것입니다.
25답 –기도와 염불에 또 신도댁에 찾아가고 전화하지말라
26답 –안동유하사와 안동포교당 대원사와 설악산 신흥사에 잠시 머물렀습니다.
27답 –도선사 혜명스님. 망월사 춘광스님.고운사 진명스님 이셧습니다.
28답 –겨울에 항상 얼음과 배가 들어가는 냉면과 고소나물과 국수와기장떡을 좋아하셨습니다.
29답 –탄허은사스님의 사리탑을 건립하기 위하여 남쪽에 출장갔다 밤늦게 도착하여 그다음날 6시에 상원사에서 열반하였으며 당시나는 보경스님과 함께 보궁에서 철야기도 중이였습니다.
30답 –근면 성실하라고 하셨습니다.
31답 –부처님께 출가후 근면. 성실. 진실. 하라고 하셨습니다.
32답 –평상심시도 라 하였습니다.
33답 –출가자에게는 법통과 종통과 설통을 배우고 지켜야하고 수행하고 노력해야 한다고 부촉하였습니다.
34답 –스님께서는 밖으로 드날리는 것을 항상 경계하셨습니다.
35답 –항상 수행자의 위치를 지키고 그곳에 머물러라하시고 부처님법은 타인이 감응할 때 가피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36답 –올곶은 보살성인 이셨습니다
37답 –소승이 재무보면서 늑막염과 결핵과 위장병을 앓고 감기가들어 사경에 해메는데 병원 치료비를 주십사고 하시니 병은 기도로 치료하는 것이지 병원의 주사로 치유하는 것이 아니라 하시며 거절하셨던 깊은뜻이 기억납니다.
38답 –항상 기상후 방안에 영정에 기도할 때 미소만 머금어집니다.
39답 –인옥보살의 성인이신 희찬스님같이 우리불교가 올바로 전법되고 교단이 바로서서 수행하는 단체가 되었으면 합니다.
40답 -⓵상좌 -⓶사제
평창 월정사 주지 정념. 평창 오대산 사고사 각수.
서울 월정사 회주 현해. 영월 금몽아 주지 인보.
원주 성불원 주지 현각. 대전 자광사 주지 삼지.
홍천 수타사 주지 화광. 영월 법흥사 주지 삼보.
삼척 삼장사 주지 현풍. 서울탄허박물관 주지 혜거.
평창 월정사 한주 현기.
평창 월정사 한주 현도.
평창 동관음암주지 행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