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화산’ 백두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04-23 13:22 조회2,285회 댓글0건본문
백두산의 중국 이름은 장백산(長白山)이다.
당나라 때는 태백산(太白山)이었다.
모두 ‘백산’이다.
겨울 내내 눈에 쌓여 있어서만은 아니다.
용암과 화산재로 덮인 산 정상이
하얗게 보이기 때문이다.
산 명칭이 화산임을 말해준다.
흔적은 백두산 서파·남파 등산로에 남아 있는
탄화목(炭火木), 탄애(炭崖·숯 절벽)에서도 목격할 수 있다.
가장 확실한 증거는 천지다.
분화구에 형성된 천지는
세계에서 수심이 가장 깊은 산정호수다.
백두산은 대략 277만년 전부터 21만년 전까지
4~5차례의 화산 폭발로 형성된 것으로 지질학자들은 추정한다.
백두산과 천지가 만들어진 뒤에도
크고 작은 분화는 계속됐다.
지질학자들은‘조선왕조실록’등
문헌을 바탕으로 1401년, 1403년, 1597년, 1654년,
1668년, 1702년에 화산이 분출했다고 분석한다.
926년 발해의 멸망이
백두산 화산 폭발과 관계가 있다는 학설도 있다.
일본 화산 전문가는 1898년, 1903년, 1925년에
백두산 화산이 분화했다고 주장한다.
이게 맞다면 백두산은
우리가 알고 있던 휴화산이 아니라
‘마그마가 살아 있는’ 활화산이다.
최근 백두산이 심상치 않다.
2002년 이후 백두산 인근에서만
월평균 200여차례의 지진이 감지됐다.
2010년에는 월평균 300회를 넘었다.
백두산 주변 지형은 천지를 중심으로
한 해 약 3㎝씩 융기하고 있다.
지하 마그마가 커지면서
산 정상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