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사자후> 지면법문

지면법문

경허 그리고 전염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03-26 15:18 조회2,248회 댓글0건

본문

 

 

 

동학의 2대 교주 해월 최시형(1827~1898)

괴질의 유행 경로를 꿰뚫어 보고 이렇게 말했다.

침을 아무데나 뱉지 말고, 코나 침이 땅에 떨어졌거든 닦아 없애라,

먹던 밥을 새 밥에 섞지 말고 먹던 국을 새 국에 섞지 말라,(․․․)

이리하면 연달아 감염되지 않을 것이다.”  

 

해월이 할동하던 시기에 계룡산 동학사에는

경허(1849~1912)라는 걸출한 승려가 나타나 이름을 떨쳤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출가한 경허는

일찍 경전에 달통해 동학사 강백이 됐다.

수많은 승려와 신도가

경허의 금강경강론을 들으려 몰려들었다.

서른한살 때 경허는 처음으로 절간을 나와 속세의 땅을 밟았다.

천안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비바람이 몰아쳤다.

경허는 하룻밤 신세를 지려고 집마다 문을 두드렸으나

나오는 사람이 없었다.

겨우 문을 열어주는 집이 있었는데,

노인이 대뜸 이렇게 말했다.

이 동네는 전체가 호열자 귀신에 씌어 집집이 시체요, 빨리 도망가시오.”

도를 닦아 생사를 초탈했다고 자부하던 젊은 승려는

죽음의 공포가 엄습하자 혼비백산해 줄행랑을 쳤다.

경허는 이 참담한 체험을 통해 큰 깨달음을 얻은 경허는

나병에 걸려 손과 발이 뭉개지고 코가 문드러진 여인을

제 방에 들여 전심으로 돌보는 무애의 자비행을 실천했다.

해월은 선각자의 통찰력으로 조선 민중을 지켰고,

역병을 통해 대각에 이른 경허는 조선 불교를 새로 일으켜 세웠다.

전염병의 집단 숙주가 된 오늘

한국 종교와 종교인들이 귀감으로 삼을 만한 삶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